skip to Main Content
info@pandatranslation.com | 조달등록업체 | 여성기업 | 수출바우처수행기관 | 성실납세업체 | ISO인증
요리
기타 판다번역 2011.05.31 추천 0 조회 1821
하얀 고기가 연하고 맛이 좋은 대구는 어떤 조리법을 사용해도 모두 맛있는 요리가 만들어져 식도락가의 인기를 받는 고급식재의 하나이다. 최근에 대구와 비슷한 유어(油魚)라는 생선이 시중에 나와 대구의 진위에 베일을 덮는다. 깊은 바다에서 자라는 유어는 20%가 기름인데 기름이 체내에 들어가서 분해되거나 흡수되지 못하고 위장을 자극해 설사를 유발한다. 단, 중독되지는 않는다. 유어로는 산업용 윤활제를 많이 만들고 요리식재로는 사용되지 않는데 가격이 비싼 대구로 인해 일부 요식업자들이 쓰레기 생선인 유어에 대구라는 이름을 붙혀 저렴한 가격으로 팔고 있다. 이와 반대로 대구는 고급 생선으로써 고기가 부드럽고 독특하고 싱싱한 맛을 가지며 풍부한 지방산이 인체의 콜레스티롤을 낮추어주어 심장병예방에 좋다. 대구와 유어를 비교하면 쉽게 진위를 가를수 있다. 대구는 껍질이 흰 색이나 회색을 나타내고 유어는 그물모양의 검정색을 나타내며, 고기색갈은 똑같이 하얗지만 대구는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반면 유어는 질기고 맛이 별로이다. 가격으로도 대구의 진위를 쉽게 가를수 있다. 대구는 아무리 저렴해도 킬로그람당 100원(RMB)이며 유어는 최소 20원씩 하기도 한다. 싼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딱 맞는 것이다. 출처: 중국국제방송국
기타 판다번역 2011.05.30 추천 0 조회 1347
(사진설명: 단오에 먹는 종자) 종자의 기원: 해마다 단오가 되면 중국 각지에서는 종자(粽子, Zongzi)라는, 찹쌀속에 대추를 넣어 푸른 식물잎에 싸서 쪄서 만든 음식을 먹는다. 기원전 340년에 나라를 잃은 초(楚)나라 애국시인 굴원(屈原)이 음력으로 5월 초닷새에 강물에 몸을 던졌다. 그에 사람들은 강물속의 물고기들이 굴원의 몸을 해치지 말라는 의미로 대나무통에 쌀을 담아서 강물에 뿌리면서 굴원에 대한 존경과 그리움을 나타냈다. 그 뒤 해마다 5월 초닷새 단오가 되면 사람들이 강물에 쌀을 뿌리면서 굴원을 기념했고 그 것이 바로 오늘날 단오음식 종자의 모태이다. 사서에 의하면 그 뒤 굴원이 꿈속에 나타나 "강물속의 교룡(蛟龍)이 너희들이 보낸 쌀을 훔치니 이제부터는 교룡이 훔치지 못하도록 식물잎에 싸서 오색실로 묶어서 보내라."고 했고 그때로부터 일명 각서(角黍)라고 하는 종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종자의 종류: 종자의 생명력은 참으로 강하다. 종자가 만들어져서 지금까지 2천여년동안 거의 변함이 없이 기존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단오음식이 종자이기 때문이다. 푸른 잎속에 쌀과 대추를 넣어 단오전후에 쪄서 먹는 종자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단오가 되면 집집마다 종자를 싸서 계란과 웅황주(雄黃酒)라고 하는 술과 함께 먹는다. 북방의 종자는 쌀과 설탕, 대추, 팥앙금 등 채식을 넣는데 비해 남방의 종자는 당연히 육류를 종자속에 넣는다. (사진설명: 육류를 넣은 남방종자) 가흥(嘉興)종자: 많은 사람들이 종자를 먹으면서 가흥이라는 곳을 알게 되었다. 중국 중부의 절강(浙江, Zhejiang) 가흥(嘉興, Jiaxing)에서는 단오에만 종자를 먹는 것이 아니라 일년 내내 먹는다. 그 때문에 베이징(北京, Beijing)에서 통오리 구이를 먹지...
기타 판다번역 2011.05.27 추천 0 조회 1395
(사진설명: 북방의 짜장면)이 세상에는 국물면, 볶음면, 무침면 등 다양한 면이 있다. 중국의 면만 봐도 북방의 면을 사나이에 비유한다면 남방의 면은 당연히 수줍은 숙녀의 모습이다. 사나이의 면을 대표하는 북방의 면으로는 비빔면의 일종인 베이징(北京, Beijing) 짜장면을 들수 있다. 졸깃졸깃한 면을 그릇에 담고 그 위에 검정색의 장소스와 푸른 오이, 붉은 무, 흰 파 등을 두고 고루 섞으면 별미이다. (사진설명: 서남의 단단면) 남방 비빔면의 대표로는 사천(四川, Sichuan)의 단단면(担担面)이 인기이다. 약간 국물이 있는 단단면은 매운 맛 중심으로 온갖 양념이 어울리고 고소한 땅콩이 가미해 더욱 짙은 맛을 자랑한다. 북방면의 또 다른 대표로는 란주(蘭州, Lanzhou)의 수타면을 들수 있다. 맑은 국물이 고소한 냄새를 풍기고 흰 국수발이 푸른 파와 빨간 고추기름 등을 떠이고 있는 것을 보면 먹기도 전에 행복하기만 하다. 소자면(臊子面) 역시 국물있는 면의 대표이다. 잘게 다진 고기를 기름에 볶아서 소스로 만들어 면위에 얹으면 고기의 고소한 맛과 면의 향이 어울려 최고이다. (사진설명: 남방의 만두면) 이와 반면에 여성스러운 남방의 면은 상대적으로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작은 그릇에 가는 국수가 해물육수에 잠겨 있는 남방의 면은 국물이 시원하고 가끔 면과 함께 혼돈자도 들어 있어 담백한 곳에 짙은 맛을 자랑하기도 한다. 호수에서 나는 민물새우로 국물을 만들고 후추와 파, 고수풀, 기름 등 온갖 양념을 둔 남방의 만두면은 담백한 맛과 짙은 맛, 만두와 면이 어울려 최고를 자랑한다. 출처: 중국국제방송국
기타 판다번역 2011.05.24 추천 0 조회 2530
(사진설명: 콩과 콩제품)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콩은 "땅에서 나는 고기"로 불리울 정도로 영양분이 많아 채식을 하는 적지 않은 사람들은 육류대신 콩을 건강식으로 대체한다. 콩은 다양한 음식을 만들수 있는 음식이고 특히 여름에 좋은 건강식이다. 아름다운 부인과 비교할수 있는 콩은 젊었을 때는 아직 채 익지 않은 콩, 청대콩으로 특히 여름날에 맥주안주로 최고이다. 소금을 넣은 물에 삶아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꺼내서 맥주안주로 하면 시원하고 상큼한 청대콩의 맛이 마찬가지로 시원한 맥주와 제법 잘 어울린다. (사진설명: 청대콩)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 청대콩은 피곤증을 해소하고 식욕을 돋구어 주는 역할도 한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들에게 청대콩은 피부를 윤택하게 해주고 날씬한 몸매를 유지시켜주는 역도 한다. 청대콩을 그대로 놔두면 껍질의 푸른 색갈이 노랗게 되고 껍질속의 콩알도 노랗게 되면서 콩, 황두로 변한다. 황두로 변한 콩은 볶아서 먹는 것이 최고이다. 볶음 콩에 돼지고기나 파를 넣어 볶아도 되고 쌀국수나 분식에 콩을 넣어 먹어도 고소하다. (사진설명: 콩볶음) 콩과 게살을 함께 볶으면 물을 먹고 부드러워진 콩에 게살의 싱싱한 맛이 배어 최고이고, 노란 콩과 흰 은행, 붉은 콩, 파아란 강남콩을 함께 볶아 보기도 좋고 맛도 좋고 영양분도 많은 건강식 요리를 만들수도 있다. 콩은 모양을 바꾸어가면서 다양한 음식물로 변하기도 하는데 콩 최고의 변화음식물로는 당연하게 두부이다. 옛날 콩을 가지고 장생불로약을 만들다가 우연하게 만들어진 두부는 제비둥지와 비슷할 정도로 영양분이 풍부하다. (사진설명: 콩으로 앗은 두부) 두부 또한 다양한 요리를 만들수 있어...
기타 판다번역 2011.05.24 추천 0 조회 1568
쉰 밥이란 밥이 상하여 맛이 시금하게 변한 것을 말하며 보통 버리는 것이 관례이다. 그런데 산서(山西, Shanxi)의 하곡(河曲, Hequ)에서는 오히려 쉰 밥이 특별 음식이다. 전한데 의하면 옛날 농민 봉기군이 온다고 해서 하곡의 백성들이 농민 봉기군을 맞이해 집집마다 쌀을 모아 밥을 지어 봉기군을 위로하려 했었다고 한다. 쌀을 씻어놓고 봉기군이 오기를 이제나 저제나 하고 기다렸으나 봉기군은 오지를 않고 그렇게 며칠이 지나자 씻어놓은 쌀이 그만 쉬어버렸다. 버리자니 아깝고 해서 백성들은 그 쌀을 가지고 죽을 만들어 먹었다. 생각밖에 별다른 맛이어서 그 뒤에 쉰 밥 산미반(酸米飯)이 하곡의 음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쉰 밥 산미반은 죽과 국물있는 밥으로 나뉘어 보통 아침에 죽을 먹고 점심과 저녁에 밥으로 먹는다. 그 때문에 하곡의 거의 모든 집들에는 부엌에 쉰 쌀물을 담아두는 오지독이 하나씩 있어 매일 저녁 주부가 식솔에 따라 쌀을 씻어 독에 담아 부엌의 온도에 의해 하루 밤 발효시킨다. 부엌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지나치게 쉬어버려 먹을수 없게 됨으로 온도 조절이 아주 중요하다. 이튿날 아침 가마에 감자나 고구마 등을 넣어 끓이다가 반 정도 익으면 그 때 발효시킨 쌀을 넣어 한 소큼 더 끓이면 쉰 죽이 만들어 진다. 출처: 중국국제방송국
기타 판다번역 2011.05.24 추천 0 조회 1658
Back To Top